리눅스에서 로그 파일의 1000번째 줄부터 2000번째 줄까지를 추출하여 별도 파일로 저장
✅ 방법 1: sed 명령어 사용
sed -n '1000,2000p' /path/to/source.log > /path/to/output.log
-n | 출력 억제 (선택한 줄만 출력) |
'1000,2000p' | 1000번 줄부터 2000번 줄까지 출력 |
> output.log | 결과를 별도 파일로 저장 |
✅ 방법 2: awk 명령어 사용
awk 'NR>=1000 && NR<=2000' /path/to/source.log > /path/to/output.log
- NR: 현재 라인 번호
- NR >= 1000 && NR <= 2000인 줄만 출력
awk는 필터링 조건을 더 추가하고 싶을 때 확장성이 좋습니다.
✅ 예제
sed -n '1000,2000p' /var/log/syslog > ~/logs/syslog_chunk.log
또는
awk 'NR>=1000 && NR<=2000' /var/log/syslog > ~/logs/syslog_chunk.log
🔎 참고: 추출 대상 줄 수 확인
전체 라인 수를 먼저 알고 싶다면:
wc -l /path/to/source.log
📝 추가 팁
- 파일에 헤더 라인이 있는 경우, 첫 줄을 유지하고 1000~2000줄을 추가하고 싶다면 다음과 같이 조합도 가능:
(head -n 1 /path/to/source.log && sed -n '1000,2000p' /path/to/source.log) > output_with_header.log
로그 파일에서 특정 문자열을 포함한 줄만 추출하거나, 압축된 로그(.gz 등)에서 직접 검색하는 방법
✅ 1. 특정 문자열 포함한 줄만 추출
🔹 grep 명령어 사용
grep "에러코드123" /path/to/logfile.log
"에러코드123" | 찾고자 하는 문자열 |
/path/to/logfile.log | 검색 대상 로그 파일 경로 |
🔹 여러 키워드 중 하나라도 포함된 줄 검색
grep -E "ERROR|FATAL|PANIC" logfile.log
- -E는 extended regex 사용
- |는 OR 조건
🔹 추출 결과를 별도 파일로 저장
grep "에러코드123" logfile.log > filtered.log
🔹 줄 번호도 함께 출력
grep -n "에러코드123" logfile.log
✅ 2. 압축된 로그(.gz)에서 직접 검색
🔹 zgrep 사용
zgrep "에러코드123" logfile.log.gz
- zgrep은 gzip 파일에서 압축 해제 없이 직접 검색
🔹 여러 키워드 OR 검색 (zgrep -E)
zgrep -E "ERROR|FATAL|PANIC" logfile.log.gz
🔹 줄 번호까지 포함하고 싶다면
zcat logfile.log.gz | grep -n "에러코드123"
- zcat으로 압축 해제 후 grep을 조합
🔹 1000~2000줄 사이에서 특정 문자열만 검색
sed -n '1000,2000p' logfile.log | grep "에러코드123"
또는 압축 파일이라면:
zcat logfile.log.gz | sed -n '1000,2000p' | grep "에러코드123"
📝 정리
일반 로그에서 문자열 검색 | grep "문자열" logfile.log |
압축 로그에서 문자열 검색 | zgrep "문자열" logfile.log.gz |
줄 번호 포함 검색 | grep -n "문자열" logfile.log |
특정 줄 범위에서 검색 | `sed -n '1000,2000p' logfile |
결과 저장 | ... > output.log |
'python > tip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Linux에서 디렉토리나 파일을 최근 변경된 순서로 정렬하여 리스트 (1) | 2025.08.06 |
---|---|
Linux 명령어 (파일의 라인수, CSV파일 읽기 및 별도파일생성) (1) | 2025.07.15 |
update-ca-trust extract가 작동하지 않는 주요 원인 (1) | 2025.06.10 |
Linux Java TrustStore에서 오래된 인증서 예전 인증서 제거하는 방법 (1) | 2025.05.14 |
Excel에서 두 시분초(예, 010203)값의 차이를 초로 계산하기 (0) | 2025.04.28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