728x90
반응형
| START_DT | START_TIME | END_DT | END_TIME |
| 20250427 | 001003 | 20250427 | 001238 |
| 20250427 | 001003 | 20250427 | 001120 |
| 20250427 | 001003 | 20250427 | 001145 |
| 20250427 | 001500 | 20250427 | 005432 |
값중에서 START_TIME과 END_TIME의 차이를 초로 계산하는 방법
| START_DT | START_TIME | END_DT | END_TIME | 차이 (초) |
| 20250427 | 001003 | 20250427 | 001238 | 155 |
| 20250427 | 001003 | 20250427 | 001120 | 77 |
| 20250427 | 001003 | 20250427 | 001145 | 102 |
| 20250427 | 001500 | 20250427 | 005432 | 2372 |
Excel 함수로 변환 공식
만약 A1 셀에 021320처럼 숫자 형태로 입력되어 있다고 가정할 때, 이를 초(second)로 변환하는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:
=INT(A1/10000)*3600 + INT(MOD(A1,10000)/100)*60 + MOD(A1,100)
설명
부분의미
| INT(A1/10000) | 시(hour) 추출 |
| MOD(A1,10000)/100 | 분(minute) 추출 |
| MOD(A1,100) | 초(second) 추출 |
| 각각 시는 ×3600, 분은 ×60을 해서 모두 초로 변환 후 합산 |
두 값의 초 차이 구하는 공식
예를 들어,
- A1 = 021320
- B1 = 021428
이렇게 두 값이 있다고 하면, 두 값의 초 차이를 구하는 공식은:
=(INT(B1/10000)*3600 + INT(MOD(B1,10000)/100)*60 + MOD(B1,100))
- (INT(A1/10000)*3600 + INT(MOD(A1,10000)/100)*60 + MOD(A1,100))
결과
- 위 수식을 입력하면,
- B1 - A1의 초 단위 차이가 바로 계산됩니다.
추가 팁
- 결과를 분:초 형식으로 보고 싶으면 =TEXT(초값/86400,"[mm]:ss") 형식으로 변환할 수도 있습니다.
- 예를 들어 위 공식 결과가 68초라면,
=TEXT(68/86400,"[mm]:ss") 로 01:08처럼 표시할 수 있습니다.
결과를 시:분:초 (hh:mm:ss) 형식으로 변환
엑셀에서는 시간 = 초 / 86400 을 하면 시간 형식으로 바꿀 수 있습니다.
(하루 = 24시간 × 60분 × 60초 = 86400초)
=TEXT(
((INT(B1/10000)*3600 + INT(MOD(B1,10000)/100)*60 + MOD(B1,100))
- (INT(A1/10000)*3600 + INT(MOD(A1,10000)/100)*60 + MOD(A1,100))) / 86400,
"hh:mm:ss"
)
결과 예시
위 식을 적용하면 668초 → 00:11:08 로 출력됩니다.
추가 팁
- TEXT(..., "hh:mm:ss")로 표시 형식을 지정하지 않으면 엑셀이 소수로 인식할 수 있으므로 반드시 TEXT로 감싸거나, 셀 서식을 **사용자 지정 → hh:mm:ss**로 설정하세요.
728x90
반응형
'python > tip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| update-ca-trust extract가 작동하지 않는 주요 원인 (1) | 2025.06.10 |
|---|---|
| Linux Java TrustStore에서 오래된 인증서 예전 인증서 제거하는 방법 (1) | 2025.05.14 |
| HTTP Request Smuggling (요청 스머글링)이란? (0) | 2025.04.28 |
| jQuery 1.4에서 jQuery 3.5 이상으로 업그레이드 Plan (0) | 2025.04.22 |
| linux 지정한 날짜 이전 변경된 파일 찾기 (0) | 2025.04.22 |